2016년 리우올림픽대회 정보
대회소개

대회 슬로건/엠블럼/마스코트

종목소개
이전
- 양궁
- 체조
- 육상
- 배드민턴
- 농구
- 비치 발리볼
- 복싱
- 카누 슬라럼
- 카누 스프린트
- BMX
- 산악자전거
- 로드자전거
- 싸이클
- 다이빙
- 승마
- 펜싱
- 축구
- 골프
- 핸드볼
- 하키
- 유도
- 마라톤 수영
- 근대 5종
- 리듬 체조
- 조정
- 럭비
- 세일링
- 사격
- 수영
- 싱크로나이즈드
- 탁구
- 태권도
- 테니스
- 트램펄린 체조
- 철인 3종
- 배구
- 수구
- 역도
- 레슬링
-
- 양궁 Archery
- 양궁은 활과 화살을 이용하여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과녁을 향해 쏘아 득점을 겨루는 타깃 종목이다. 1900년 파리 올림픽 때 처음 남자부가 정식종목이 되었으며 여자부는 4년 후 올림픽부터 실시되었다. 리우올림픽에서는 대한민국 선수단의 여자 단체전 8연패 및 최초 전 종목 석권을 목표로 남, 여 개인 및 단체종목이 치러진다.
-
- 육상 Athletics
- 육상 경기는 트랙과 필드, 로드에서 이루어지는 경기의 총칭으로, 모든 스포츠의 기본이 되는 능력을 겨루는 스포츠이다. 트랙 경기(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허들)와 필드 경기(도약, 투척), 혼성경기(10종(남), 7종(여), 로드레이스(마라톤, 경보)로 구분한다. 1896년 아테네 초대올림픽 때부터 정식종목으로 실시되었으며, 리우올림픽 종목 중 가장 많은 47개의 금메달이 걸려있다.
-
- 배드민턴 Badminton
- 셔틀콕을 네트 양편에서 라켓으로 쳐가며 득점을 겨루는 스포츠이다. 셔틀콕의 최고속도는 시속 330km/h로 빠른 반응이 요구된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부터 정식으로 채택됐다. 경기 전 양편이 토스를 하여 이긴 편이 첫 서브권, 또는 코트 선택권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진편은 나머지를 택하게 된다. 3게임(2게임 선취 시 승리)을 원칙으로 하며 한 게임 21점을 선취한 편이 승리한다.
-
- 농구 Basketball
- 바스켓을 공중에 매달아 놓고 볼을 넣으며 득점을 경쟁하는 구기 종목으로 한 팀이 5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벌이는 스포츠이다. 두 팀이 서로 볼을 패스, 드리블, 슛하여 플레이를 함으로써 승부를 결정하되 신체적 접촉 없이 공격 방어를 하게 되어 있다. 농구는 1936년 첫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리우올림픽은 농구가 정식종목이 된 80주년을 맞이하게 된다.
-
- 복싱 Boxing
- 양손에 글러브를 끼고 주먹만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얼굴, 몸통 등을 가격하고 방어하며 진행하는 투기 종목의 하나이다. 남자부는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종목으로 채택됐으며, 2012년 런던올림픽 때 여자부도 신설됐다. 남자부는 10체급, 여자부는 3체급이 열린다. 남자부 경기시간은 3분간 경기 후 1분간 쉬는 것을 1라운드로 하여 3라운드로 진행되며 여자부는 2분간 경기 후 1분간 쉬는 것을 1라운드로 하여 4라운드로 진행된다. 5명의 심판이 채점하며 이 중 컴퓨터가 무작위로 선택한 3명의 점수를 합산하여 승자를 결정한다. 판정 기준은 유효면에 적중한 펀치의 수, 기술 및 전술적 우위, 규칙 위반여부 등이다.
-
- 카누 슬라럼 Canoe Slalom
- 배의 종류에 따라 카누와 카약으로 나뉜다. 카누는 덮개가 없고 외날 노를 사용하며, 카약은 덮개가 있고 양날 노를 사용한다. 유속 2m/sec 이상의 급류 또는 역류에서 바위, 제방 등 자연 또는 인공 장애물을 통과하는 경기다. 250~400m이내의 코스에 18-25개의 기문을 만들어 통과 시간과 기술에 벌점을 부과하여 채점한다. 1972년 뮌헨 올림픽 때 처음 채택됐으며, 각각 1인승 및 2인승경기가 열린다.
-
- 카누 스프린트 Canoe Sprint
- 배의 종류에 따라 카누와 카약으로 나뉜다. 카누는 덮개가 없고 외날 노를 사용하며, 카약은 덮개가 있고 양날 노를 사용한다. 잔잔한 물(정수, flat water)에서 실시하는 경기로써 직선코스(200m, 500m, 1000m)에서 속도를 겨룬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때 처음 정식종목으로 채택됐으며, 1인승, 2인승 및 4인승 경기가 열린다.
-
- BMX Cycling BMX
- 2008년에 베이징 올림픽 때 도입된 종목으로 올림픽 종목 중 가장최근에 정식종목으로 채택됐다. 300~400m 길이의 점프코스와 장애물코스로 이루어진 경기장을 8m의 경사로에서 출발하여 경기하는 것으로 남자개인부와 여자개인부가 열린다. 가장먼저 결승선을 통과하는 사람이 우승한다. 각 경기에서 8명이 출발하여 결승선을 통과한 순서대로 4위까지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게 된다.
-
- 산악자전거 Cycling Mountain Bike
- 산악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부품 및 장치, 프레임 등이 최적화된 자전거를 이용하여 산림로와 통로, 야지, 흙 또는 자갈길을 포함한 코스를 가장 먼저 통과하는 선수가 우승한다. 경기시간은 평균 90분에서 2시간 사이이며, 경기 중 음식을 섭취할 수 있는 ‘Feed Zone'이 있는 것이 특색. 한계 극복과 도전정신을 함양하는 종목으로 각광받고 있다.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됐으며, 리우올림픽에서 20주년을 맞이한다. 남자부 및 여자부의 개인경기가 열린다.
-
- 로드자전거 Cycling Road
- 장거리 도로를 자전거로 경주하는 경기로 남자부는 241.5km, 여자부는 141km의 코스를 동시에 출발하여 가장 먼저 결승선에 도착한 선수가 우승한다. 1896년 아테네 올림픽 때부터 채택되었다. 육상으로 보면 마라톤에 해당하는 종목으로 그만큼 열량 소모가 크고, 강한 심폐기능을 요하는 종목이다.
-
- 사이클 Cycling Track
- 사이클은 첫 올림픽인 1896년 아테네 올림픽 때부터 실시된 종목으로 스프린트, 경륜, 단체스프린트, 단체추발, 옴니엄의 5가지 세부종목이 있다. 공통적으로 결승선을 가장 먼저 통과하는 선수가 우승한다. 스프린트는 2~4명의 선수가 서로 간에 견제와 작전을 구사하는 특징이 있으며, 경륜은 상대 선수의 진로를 방해하지 않고 결승선까지 자기 주로를 유지해야 한다. 단체스프린트는 트랙의 서로 반대편에서 출발하여 남자는 3명의 선수가 세바퀴, 여자는 2명의 선수가 두바퀴를 주파한다. 단체추발 역시 트랙의 서로 반대편에서 출발하지만 단체스프린트와는 달리 남녀 모두 4명씩 출발하여 4km를 주파하는 중장거리 경기이다. 옴니엄은 6개의 세부종목을 겨뤄 합산 점수가 가장 높은 선수가 우승하게 된다.
-
- 승마 Equestrian
- 승마는 말을 타고 장애물을 넘거나 규정된 종목 연기를 통해 점수를 겨루는 스포츠로, 올림픽 경기 중 유일하게 동물과 함께 참여하는 스포츠이며, 성별 구분없이 남녀선수가 함께 겨루는 종목이다. 동작의 정확성, 자연스러움, 경쾌함, 유순한 자세 등을 종합 관찰하여 채점하는 마장마술(Dressage), 정해진 시간 내에 장애물을 뛰어 넘는 장애물(Jumping)과 마장마술, 지구력, 장애물경기를 종목별로 실시하는 종합마술(Eventing)경기가 있으며, 개인 및 단체전으로 나뉜다.
-
- 펜싱 Fencing
- 1896년 초대 올림픽 때부터 있었던 펜싱은 두 경기자가 검(劍)을 가지고 '찌르기', '베기' 등의 동작으로 득점하여 승패를 겨루는 스포츠다. 사용하는 검에 따라 플뢰레(foil), 에페(épée), 사브르(sabre)로 나뉘며, 남녀 개인전과 단체전이 있다. 공식용어는 모두 프랑스어이다. 경기 도중에 칼을 잡지 않은 손이나 팔로 유효면을 덮거나 보호하려는 데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
-
- 축구 Football
- 남자축구는 1900년 파리 올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채택됐으며, 여자축구는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부터 실시됐다. 2016 리우올림픽에서는 남자부 16개국, 여자부 12개국이 7개의 경기장에서 열전을 펼친다. 역대 경기기록은 남자축구의 경우 헝가리가 1위(금3, 은1, 동1), 영국이 2위(금3), 아르헨티나가 3위(금2, 은2)이며, 여자축구에서는 미국이 1위(금4, 은1), 노르웨이 2위 (금1,동1), 브라질 3위(은2)다.
-
- 골프 Golf
- 골프는 1900년 파리올림픽,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 때 실시 된 바 있으나 이후 올림픽종목에서 제외됐다. 112년이 지난 이번 리우올림픽 때 다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역사적으로 더욱 의미가 있다. 정규홀로 구성된 경기장에서 정지된 공을 골프채로 쳐서 홀에 넣는 경기로, 홀에 들어가기까지의 타수가 적은 사람이 경기에 이긴다. 18홀의 경기를 1라운드 경기라고 하며, 이번 리우올림픽에서는 1일 18홀, 4일간 총 72홀 4라운드 경기로 치러질 예정이며, 남자부, 여자부 개인전만 실시된다.
-
- 기계체조 Artistic Gymnastics
- 기계를 이용하여 몸동작으로 연기하는 운동으로, 신체의 안정성·난이도·우아함·독창성 등을 표현하는 경기이다. 1896년 아테네 올림픽 때 정식종목이 되었다. 남자의 경기 종목은 6종목으로 마루·철봉·평행봉·안마·링·도마이며 여자 종목은 4종목으로 마루·평균대·이단평행봉·도마이다.
-
- 리듬체조 Rhythmic Gymnastics
- 줄, 후프, 공, 곤봉, 리본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신체 율동을 표현하는 체조 종목의 하나다. 예술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 여성경기만 있는 종목이다. 1984년 LA올림픽 때 채택되었으며, 경기는 단체경기와 개인경기로 나뉘어 열린다. 채점기준은 독창성과 숙련도, 몸짓과 얼굴 표정, 선과 동작의 유연성 등이다. 선수들은 연기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동작을 실시해야 하며, 단체경기에서는 단체타이즈를 입고 머리는 뒤로 묶어야 한다.
-
- 트램폴린 Trampoline Gymnastics
- 트램펄린은 탄력 있는 기구 위에서 공중으로 도약하여 공중 기술과 연속동작의 아름다움을 펼치는 체조 종목의 하나이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 정식으로 채택된 종목으로 체공시간, 동작의 난이도 및 정확성이 채점기준이다. 선수들은 8미터 가량의 높이까지 뛰어올라 공중동작을 선보인다.
-
- 핸드볼 Handball
- 핸드볼은 한 손에 쥐어지는 볼을 이용하여 두 팀이 골을 다투는 종목으로, 패스, 드리블, 인터셉트 등의 기술이 구사되며 빠른 스피드와 슛이 박진감 있는 주요 구기 스포츠이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채택됐으며, 1972년 뮌헨 올림픽 때부터는 실내에서 경기가 열렸다. 올림픽에서는 남자부 및 여자부 경기가 있다. 한 팀은 12명으로 편성되지만, 경기에 출전할 수 있는 선수는 7명이다. 공을 가지고 3발자국까지는 뛰거나 걸을 수 있으나 그 이상은 반칙이다.
-
- 하키 Hockey
- 필드에서 스틱을 가지고 볼을 다투는 경기를 말한다. 남자부 경기는 1908년 런던 올림픽 때 처음 열렸으며, 여자부는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때부터 시작됐다. 1팀은 11명으로 편성되며, 득점은 슈팅서클 내에서 공격 측 선수가 친 슛이나 스틱으로 닿은 것이어야만 하고, 서클 밖으로부터의 슛은 득점이 되지 않는다. 스틱의 뒤쪽으로 공을 다루는 것, 스틱으로 상대방을 치거나 걸거나 하는 것 등 위험을 유발하는 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
- 유도 Judo
- 2명의 선수가 손 기술, 발 기술 등, 온몸을 사용하여 상대를 공격하거나 공격해오는 상대의 힘을 이용해 승패를 겨루는 투기 종목이다. 1964년 도쿄올림픽 때 남자부가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여자부 경기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부터 시작됐다. 경기시간은 남자 5분/여자 4분이며, 크게 메치기, 굳히기의 기술을 사용한다. 경기 중 '한판' 또는 득점이 높은 선수가 이긴다.
-
- 근대 5종 Modern Pentathlon
- 근대5종은 펜싱, 수영, 승마, 복합경기(사격+육상)의 순서로 한명의 선수가 하루에 5개 종목을 실시하는 종목이다. 각 종목별 기록을 점수로 환산하여 총점이 가장 높은 선수, 즉 마지막에 실시되는 복합경기 결승선을 제일 먼저 통과하는 선수가 최종 우승자이다. 근대올림픽 창시자인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 제5회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2016 리우올림픽에서는 남자 개인경기와 여자 개인 경기가 각각 실시된다.
-
- 조정 Rowing
- 1900년 파리올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조정은 100년이 넘은 전통 수상종목이다. 규정된 배를 타고 일제히 출발해 정해진 거리까지 노를 저어 스피드를 겨룬다. 노를 젓는 방식에 따라 한 선수가 하나의 노를 젓는 스위프 로윙(sweep rowing), 한 선수가 두개의 노를 젓는 스컬링(sculling)으로 나뉜다. 경기장은 2km 길이, 한 경기당 6개의 배가 출발하게 된다.
-
- 럭비 Rugby Sevens
- 럭비는 타원형의 볼을 이용하며, 손과 발을 자유롭게 사용하여 옆 또는 뒤로 패스를 통해 상대편 진지에 들어가 득점을 얻는 경기이다. 1900년에 15인제 럭비경기가 도입되어 1924년까지 실시되었지만 이후 정식종목에서 빠졌다. 이번 리우올림픽 때 7인제 럭비가 다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더욱 의미가 있다. 7인제 럭비는 더욱 빠르고, 박진감 넘친다. 선수가 상대측의 인골지역에서 최초로 볼을 땅에 대거나 킥한 볼이 상대의 골포스트 사이로 넘어갔을 때 득점하게 된다.
-
- 요트 Sailing
- 경기수역에 설치된 마크를 정해진 순서와 횟수대로 빨리 돌아오는 경기로 올림픽 종목 중 유일한 해상 종목이다. 1896년 아테네 초대올림픽대회에 정식종목으로 포함되었으나 날씨의 영향으로 취소되었으며, 이후 1904년 올림픽을 제외한 모든 올림픽대회에서 정식종목으로 경기가 실시되었다. 이번 리우올림픽 때는 구아나바라 해변(Guanabara Bay)에서 배의 종류와 선수의 성별에 따라 남자부 5개 급(Laser, Finn, 470, 49er, RS:X), 여자부 4개 급(Laser Radial, 470, 49erFX, RS:X), 혼성 1개 급(Nacra 17) 등 총 10개의 세부종목 경기가 열린다.
-
- 사격 Shooting
- 사격은 총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표적에 얼마나 정확히 쏘아 맞추느냐를 겨루는 경기로 1896년 초대 아테네 올림픽 때부터 실시되어 왔다. 경기 세부종목은 사용하는 총기의 종류·구경·탄약 종류, 사격거리에 따라 남자 9개, 여자 6개의 세부종목으로 나뉘어 열린다.
-
- 수영 Swimming
- 수영은 1896년 초대 아테네 올림픽 때부터 실시되어 온 종목이다. 경기 세부종목은 개인전에 자유형, 평영, 접영, 배영, 개인혼영 5가지가 있으며, 단체 릴레이 경기 및 혼합단체 릴레이 경기가 있다. 자유형, 평영, 접영의 경우 출발대에서 스타트해야 하며, 배영의 경우 발가락을 포함하여 다리를 수면 아래에서 출발해야 한다. 부정출발은 한 선수는 탈락한다.
-
- 다이빙 Diving
- 10m 및 3m의 높이에서 물로 뛰어드는 경기로 동작과 기술의 난이도 등을 겨루는 수상 경기이다. 1904년 세인트루이스 올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채택됐으며, 당시에는 체공시간을 가장 길게 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현재의 다이빙 채점 요소는 도움닫기, 안정성, 뛰어오르는 높이, 공간 자세, 입수자세, 각도 등의 기술동작과 미적 감각 등이다. 선수들은 반드시 손과 팔을 머리 위로 뻗은 채 머리가 수면을 향하도록 입수해야 한다.
-
-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Synchronised Swimming
- 수중 운동의 한가지로, 음악에 맞추어 여러 명의 선수가 수면 위에서 동작을 연기하는 경기 종목이다. 싱크로나이즈드 수영은 1984년 LA 올림픽 때 정식종목이 되었다. 여성부 경기만 있으며, 2인 및 8인이 참여하는 단체경기가 열린다. 세부종목으로 프리루틴은 안무나 음악에 제한이 없으며, 테크니컬 루틴은 필수 요소를 꼭 포함해야 한다.
-
- 수구 Water Polo
- 수구는 수영장에 골을 설치해 놓고 두 팀이 대항하여 골 경쟁을 하는 수상 스포츠다. 1900년 파리 올림픽 때부터 남자부 경기가 시행됐으며,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 여자부 경기가 도입됐다. 한 팀은 7명으로 구성되고 경기는 8분씩 4회 실시한다. 볼의 소유권을 다투면서 상대편 골에 공을 넣으면 득점이 되는 경기이다. 물속에서 동작이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하므로 기초체력과 수영능력이 골고루 필요하다.
-
- 마라톤수영 Marathon Swimming
- 마라톤 수영은 10km 야외코스(바다, 강 등)를 완주하는 종목으로 수면에 설치된 터치패드를 찍어야 결승선을 통과한 것으로 간주된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때 수영 종목의 일부로 처음 실시되었으며, 리우 올림픽부터는 단일 종목으로 채택되어 개최된다. 25명씩 한조가 되어 출발하며 선수들은 부표로 표시된 라인을 따라 경주해야 한다.
-
- 탁구 Table Tennis
- 탁구는 일정한 규격의 탁구대에서 2.7g의 작고 가벼운 공을 라켓으로 주고받으며 경쟁하는 경기다. 1988년 서울올림픽 때 처음 채택된 탁구는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라켓경기 중 하나다. 이번 리우 올림픽에는 개인단식 과 단체전이 있다. 1명씩 경기하는 단식과 3명으로 팀을 이루는 단체전이 있다. 단체전은 4번의 단식경기와 1번의 복식경기로 이루어지며 한 팀이 세 경기를 먼저 이기면 승리하게 된다. 단체전의 순서는 단식, 단식, 복식, 단식, 단식 순으로 진행된다.
-
- 태권도 Taekwondo
- 우리나라 전통 무술인 국기태권도는 2000년 시드니올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경기방식은 양 선수가 손기술과 발기술을 사용하여 유효 부위에 일정 강도 이상의 힘으로 타격하면 점수를 얻게 되며, 다 득점선수가 승리한다. 손기술은 바른 주먹의 인지와 중지의 앞부분을 이용하여 가슴부위에 팔을 일직선으로 뻗은 공격이 유효하며 발기술은 복숭아뼈 이하의 발부위를 이용한 머리, 가슴 공격에 접촉, 타격이 발생할 시 유효하다. 경기 시간은 남녀 2분 3회전, 회전 간 휴식시간은 1분이 주어지며 주어진 경기시간안에 승부를 가리지 못했을 시 4회전 2분 골든포인트로 승부를 가린다. 리우올림픽 태권도 경기는 남자부 및 여자부 4체급 (남자 -58kg, -68kg, -80kg, +80kg, 여자 -49kg, -57kg, -67kg, +67kg)씩 실시된다.
-
- 테니스 Tennis
- 부드러운 테니스공을 이용하여 네트를 사이에 두고 라켓으로 이를 치고받으며 경쟁하는 스포츠이다. 1896년 아테네올림픽 때 남자부가 처음 실시됐으며, 1900년 파리올림픽 때부터 여자부도 실시됐다. 리우 올림픽 테니스 경기에는 단식, 복식 및 남녀 1조의 4명이 겨루는 혼합복식이 열린다. 테니스의 점수를 부르는 방법은 0점을 ‘러브’, 1점을 ‘피프틴’, 2점을 ‘서티’, 3점을 ‘포티’라고 한다.
-
- 철인 3종 Triathlon
- 철인 3종 경기는 수영 1.5km, 자전거 40km, 마라톤 10km를 순서대로 펼쳐 결승선을 먼저 통과하는 선수가 우승한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 처음 정식종목으로 채택됐으며, 다른 어떤 종목보다도 극기와 인내를 요구하는 초지구력 운동이라 할 수 있다. 리우 올림픽에서는 남자부와 여자부의 개인 경기가 열린다.
-
- 배구 Volleyball
- 배구는 토스와 리시브, 스파이크 등과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두 팀 간에 네트를 사이에 두고 벌이는 구기 스포츠로, 1964년 도쿄 올림픽 때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됐다. 볼을 바닥에 떨어뜨리지 않고 서로 쳐서 상대방 팀의 코트에 떨어지게 하며, 공을 3번 접촉한 뒤에는 반드시 네트 너머로 되돌려 보내야 한다. 단, 한 선수가 연속으로 2번을 접촉할 수 없다. 한 세트(1~4세트)는 최소 2점을 앞선 상태에서 먼저 25점을 얻은 팀이 승리한다. 24-24 동점을 이룬 경우 경기는 2점 리드가 이뤄질 때까지 계속되며(26-24; 27-25; ....), 경기는 먼저 3세트를 이긴 팀이 승리한다. 세트가 2-2로 동점인 경우 최종 5세트는 최소 2점을 앞선 상태에서 15점을 먼저 득점한 팀이 승리하며, 14-14 동점을 이룬 경우는 1~4세트와 마찬가지로 2점 리드가 이뤄질 때까지 계속된다.
-
- 비치발리볼 Beach Volleyball
- 해변 모래밭에서 배구형태로 2명이 한 팀을 이루어 경기를 한다. 1996년 처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이번 올림픽은 리우의 유명한 코파카바나 해변에서 펼쳐져 더욱 관심을 끄는 종목이다. 볼을 모래코트에 떨어뜨리지 않고 서로 쳐서 상대방 팀의 코트에 떨어지게 하며, 공을 3번 접촉한 뒤에는 반드시 네트 너머로 되돌려 보내야 한다. 단, 한 선수가 연속으로 2번을 접촉할 수 없다. 한 세트(1~2세트)는 최소 2점을 앞선 상태에서 먼저 21점을 얻은 팀이 승리한다. 20-20 동점을 이룬 경우 경기는 2점 리드가 이뤄질 때까지 계속되며(22-20; 23-21; ....), 경기는 먼저 2세트를 이긴 팀이 승리한다. 세트가 1-1로 동점인 경우 최종 3세트는 최소 2점을 앞선 상태에서 15점을 먼저 득점한 팀이 승리하며, 14-14 동점을 이룬 경우는 1~2세트와 마찬가지로 2점 리드가 이뤄질 때까지 계속된다.
-
- 역도 Weightlifting
- 원판을 심봉 양쪽에 끼운 바벨을 들어 올리는 경기를 말하며, 누가 더 많은 중량을 들어 올리는지를 경쟁하는 스포츠다. 역도경기는 남자부의 경우 1896년 최초 근대 올림픽인 아테네 올림픽 때부터 채택됐으며, 여자부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때 정식종목으로 채택됐다. 남자 8체급, 여자 7체급의 인상, 용상 경기가 열리고 올림픽은 합계로 시상한다.
-
- 레슬링 Wrestling
- 두 사람의 경기자가 일정한 규칙 하에서 맞붙어 상대방의 양 어깨를 동시에 땅에 대든가 또는 심판의 판정으로 승부를 정하는 경기이다. 1896년 아테네 초대 올림픽 때부터 실시되어 투기 종목 중 기원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경기는 3분씩 2회 진행하며, 자유형은 남자부 및 여자부 각각 체급별로 모두 실시되며, 그레고르만형은 남자부만 실시한다.
경기일정
2016년 8월 (현지시각 기준)

종목/일자 | 5 (금) |
6 (토) |
7 (일) |
8 (월) |
9 (화) |
10 (수) |
11 (목) |
12 (금) |
13 (토) |
14 (일) |
15 (월) |
16 (화) |
17 (수) |
18 (목) |
19 (금) |
20 (토) |
21 (일) |
|
---|---|---|---|---|---|---|---|---|---|---|---|---|---|---|---|---|---|---|
개/폐회식 | O | C | ||||||||||||||||
골프 | ● | ● | ● | 1 | ● | ● | 1 | |||||||||||
근대5종 | 1 | 1 | ||||||||||||||||
농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1 | ||
럭비 | ● | ● | ● | 1 | ● | ● | ● | 1 | ||||||||||
레슬링 | 2 | 2 | 2 | 3 | 3 | 2 | 2 | 2 | ||||||||||
배구 | 비치발리볼 | ● | ● | ● | ● | ● | ● | ● | ● | ● | ● | ● | 1 | 1 | ||||
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1 | ||
배드민턴 | ● | ● | ● | ● | ● | ● | 1 | 1 | 2 | 1 | ||||||||
복싱 | ● | ● | ● | ● | ● | ● | ● | ● | 1 | 1 | 1 | 1 | 1 | 1 | 3 | 4 | ||
사격 | 2 | 2 | 2 | 1 | 2 | 1 | 2 | 2 | 1 | |||||||||
사이클 | BMX | ● | ● | 2 | ||||||||||||||
트랙 | 1 | 2 | 2 | 1 | 1 | 3 | ||||||||||||
도로 | 1 | 1 | 2 | |||||||||||||||
산악 | 1 | 1 | ||||||||||||||||
수상 종목 | 수영 | 4 | 4 | 4 | 4 | 4 | 4 | 4 | 4 | 1 | 1 | |||||||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 ● | ● | 1 | ● | 1 | |||||||||||||
다이빙 | 1 | 1 | 1 | 1 | ● | ● | 1 | ● | 1 | ● | 1 | ● | 1 | |||||
수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승마 | ● | ● | ● | 2 | ● | ● | 1 | ● | 1 | ● | 1 | 1 | ||||||
양궁 | 1 | 1 | ● | ● | ● | 1 | 1 | |||||||||||
역도 | 1 | 2 | 2 | 2 | 2 | 2 | 1 | 1 | 1 | 1 | ||||||||
요트 | ● | ● | ● | ● | ● | ● | 2 | 2 | 2 | 2 | 2 | |||||||
유도 | 2 | 2 | 2 | 2 | 2 | 2 | 2 | |||||||||||
육상 | 3 | 5 | 4 | 5 | 5 | 4 | 6 | 7 | 7 | 1 | ||||||||
조정 | ● | ● | ● | ● | 2 | 4 | 4 | 4 | ||||||||||
철인3종 | 1 | 1 | ||||||||||||||||
체조 | 기계체조 | ● | ● | 1 | 1 | 1 | 1 | 4 | 3 | 3 | G | |||||||
리듬체조 | ● | ● | 1 | 1 | ||||||||||||||
트램벌린 | 1 | 1 | ||||||||||||||||
축구 | ● | ● | ● | ● | ● | ● | ● | ● | 1 | 1 | ||||||||
카누/카약 | ● | ● | 1 | 1 | 2 | ● | 4 | ● | 4 | ● | 4 | |||||||
탁구 | ● | ● | ● | ● | 1 | 1 | ● | ● | ● | ● | 1 | 1 | ||||||
태권도 | 2 | 2 | 2 | 2 | ||||||||||||||
테니스 | 1 | 1 | 3 | |||||||||||||||
펜싱 | 1 | 1 | 1 | 1 | 2 | 1 | 1 | 1 | 1 | |||||||||
필드하키 | ● | ● | ● | ● | ● | ● | ● | ● | ● | ● | ● | ● | 1 | 1 | ||||
핸드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1 |
출처 : 대한체육회